AWS

AWS RDS란

프도의길 2022. 5. 10. 20:04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념은 이미 Database Sprint에서 학습하셔서 익숙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왜 RDS를 사용할까요? 우리는 이전 슬라이드에서 EC2가 가상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서비스라고 배웠습니다. EC2 인스턴스에 MySQL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설치하면 굳이 RDS를 사용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데이터베이스만 따로 분리해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설치해서 데이터를 관리할 때와 RDS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할 때의 차이는 개인 소유 차량과 렌터카 회사에서 대여한 차량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은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하면 유지 보수, 보험처리 같은 일들을 온전히 운전자가 부담합니다. 차량 정비를 위해서 정비소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야 하고, 기타 차량과 관련된 다른 일이 생길 때 들여야 하는 시간과 수고가 큽니다.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해서 자동으로 관리를 담당하는 부분이 매우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시간을 투자하여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와 버전 관리, 데이터 백업을 해야 합니다.

 

게다가 가용성과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확률이 커지며, 후에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를 확장하기 어렵습니다.

 

그에 비해 RDS를 이용하는 것은 렌터카 회사에서 차량을 대여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렌터카 회사에서 차량을 대여하면 대여 차량과 관련하여 시간이 들어가는 일들을 렌터카 회사에서 대신 처리합니다. 운전자는 차량을 관리하는 일에 대해서 시간을 따로 쏟을 필요 없이 운전만 하면 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RDS를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와 관련된 일들을 RDS에서 전적으로 자동 관리합니다. 사용자가 해야 할 일은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밖에 없기에 큰 편의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타 RDS 이용 시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선택지를 제공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는 회사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취사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일반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엔진마다 제공하는 기능이 조금씩 다르기에 필요와 목적에 맞게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전략  (0) 2022.05.10
AWS S3란  (0) 2022.05.10
AWS EC2  (0) 2022.05.10
Deploy란  (0) 2022.05.10
Cloud Computing  (0) 202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