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대답
먼저 짧게 비동기 처리 방법인 callback함수는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싶을 때 콜백함수를 적극 활용합니다
쉽게 말해 callback 함수란 쉽게 말해서 함수안에 들어가는 함수를 callback 함수라고 합니다
그러나 callback 함수가 많아지면 속칭, callback 지옥에서 빠져 코드를 읽을때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callbakc 함수를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promise를 사용하게 됩니다 promise는 좀 더 코드를 직관 적으로 볼 수 있어 성공, 실패의 경우에 각각 다른 코드가 실행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비동기에 온 값이 promise 객체에 저장되기 때문에 코드 작성이 용이해집니다 promise에는 3가지 상태가 있다 비동기 처리가 완료 되지 않았다면 pending 완료 되었다면 Fullfillde 실패하거나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Regected 상태를 갖는다
async/await은 ES8에 도입이 된 비동기 함수입니다 이것또한 .then()지옥에 빠질수 있습니다 await 를 통해 promise 데이터들을 반환 값을 받아 올 수 있습니다
'스터디 > JS,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저장소 (쿠키,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0) | 2023.08.17 |
---|---|
호이스팅과 Temporal Dead Zone이 어떻게 연관되어있는지 설명하세요. (0) | 2022.06.19 |
클로져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0) | 2022.06.19 |